티스토리 뷰
웹은 World Wide Web의 줄임말입니다.
웹은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활용해 인터넷상에서 돌아가는 서비스이며 정보를 연결하고 공유하는 공간입니다.
(*인터넷과 웹은 다름)
이러한 정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실이 엉켜있는 거미줄 모양과 유사해 거미줄을 의미하는 'web'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.
(Hyper Text : 참조를 통해 독자가 한 문서에서 다른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)
1. 웹의 단계
초기 단계인 1.0부터 현재는 2.0 그리고 이제는 3.0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.
1) 웹 1.0 => 읽기 전용
콘텐츠 제작자만이 정보의 권한을 소유(일방적 소통)
정적 페이지
2) 웹 2.0 => 참여 구조
'읽기'와 '쓰기'가 더해져 정보간의 상호작용이 가능(쌍방향 소통)
3) 웹 3.0 => 탈중앙화, 개인 맞춤형
대체불가토큰(NFT)로 정보의 소유자 증명이 가능
AI를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
메타버스를 활용해 입체적 3D 디지털 공간인 가상공간 에서 상호작용
2. 웹 표준
웹 표준이란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에서 지정한 표준안을 지키며 제작하는것을 말합니다.
1) 익스플로러, 엣지, 크롬, 파이어폭스, 사파리 등 어떤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
웹페이지가 동일하게 보이고 작동해야함
2) 구조(HTML), 표현(CSS), 동작(Script)의 기술을 가짐
3. 웹 접근성
웹 접근성은 모든 사용자가 특정 환경이나 신체적 장애와는 상관없이 동등하게 이용 가능해야 함을 말합니다.
1) 인식의 용이성
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의미나 용도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.
2) 운용의 용이성
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모두 조작 가능해야한다 (키보드만으로도 사용 가능해야함)
3) 이해의 용이성
모든 콘텐츠는 장애유무 상관없이 이해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(label태그 제공 등)
4) 견고성
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.
4. 웹 서버(Web Server) / WAS(Web Application Server)
1) 웹 서버와 WAS는 사용자(클라이언트)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에 맞는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.
=> 프로그램과 사용자간 상호작용의 중추 역할
① 웹 서버
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웹 서버가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고 요청받은 그대로(정적인 파일)를 전달해줌
(Apache)
특징 : HTTP 프로토콜 기반, 동적 콘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을 WAS에 전달하고 그 결과물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함
② WAS
DB조회 및 다양한 로직을 처리하는 동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
(Tomcat)
특징 : 웹서버에 앱 이라는 단어가 추가된 WAS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것이 핵심
웹서버를 내장
2) 구조 :
클라이언트 | 1. 파일요청=> | 웹 서버 | 2. => | WAS | 3. => | DB |
6. <=파일반환 | 5. <= | 4. <= |
웹 서버와 WAS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
① 업무 분담을 통한 서버의 부하방지
② WAS를 분산하여 요청 처리가 가능
③ WAS의 외부 노출없이 웹 서버가 WAS로 연결함 => 보안 향상
3) 형태 및 종류
웹 서버와 WAS의 구성 환경요소는 크게 2가지
① On-premise
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서버를 설치하여 운영(자체 보유 전산실)
② 클라우드
특정 회사에서 운영하는 고성능 컴퓨터에 서버를 구축하는 방식
IT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필요에 따라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(AWS)
*HTTP 프로토콜 :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
모든 종류의 데이터 전송 가능
HTML문서,이미지,동영상,오디오,텍스트 문서 등
*웹개발은
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는 Front-End개발과
서버측에서 실행되는 Back-End개발로 나뉨
백엔드개발자, 서버개발자 현재 같은 맥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. 웹개발자의 경우 WAS개발 즉 서버개발=백엔드 개발